소셜미디어 속 정보,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
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개의 정보를 소셜미디어에서 마주합니다.누군가의 게시물, 짧은 영상, 캡처된 뉴스, 요약된 그래픽 카드뉴스, 유명인의 발언.이 정보들은 너무 짧고 빠르며, 너무 자연스럽게 ‘사실처럼’ 느껴집니다.아이들 역시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를 통해 세상을 배우고 의견을 형성하죠.문제는, 그 정보들이 사실인지 아닌지를 생각해볼 여유조차 없이 소비된다는 점입니다.이 글에서는 소셜미디어 속 정보의 특성과 위험성, 그리고그 속에서 비판적으로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사실’처럼 보이는 정보, 사실일까?소셜미디어에서 접하는 정보의 특징은 간단합니다.짧고, 자극적이며, 감정을 끌어낸다는 것.이 세 가지가 결합되면 사람들은 정보를 사실로 느끼기 쉽습니다.예를 들어, “한 의사가 말하는 충격..
2025. 4. 17.
비판적 사고로 뉴스를 소비하는 법 가짜 뉴스 구별하기
요즘은 뉴스를 일부러 찾아보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접하게 됩니다.아이들은 유튜브를 보다가, SNS를 스크롤하다가, 혹은 친구와의 대화 중에 어떤 ‘정보’를 듣게 되죠. 그런데 그 정보는 뉴스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가짜이거나, 일부만 편집된 사실이거나, 혹은 의도적으로 감정을 자극하는 콘텐츠일 수 있습니다. 우리가 디지털 시대에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할 가장 중요한 능력 중 하나는, 정보를 그대로 믿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생각하며’ 받아들이느냐입니다. 다시 말해,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태도입니다. 이 능력은 단순히 지식을 많이 아는 것과는 다릅니다. 생각하는 힘, 질문하는 습관, 그리고 정보 속에 감춰진 의도를 읽어내는 능력이 필요하죠.이 글에서는 우리가 왜 비판적 사고를 가르쳐야 하는지, 그리고 일상 속..
2025. 4. 17.
디지털 세상에서의 소통 방법, 가르쳐야 할 것은 무엇일까?
“요즘 애들은 대화를 못 해요.”학부모와 교사들이 자주 하는 말이지만, 아이들은 ‘대화’를 하지 않는 게 아닙니다.그들의 대화 방식이 ‘디지털’로 옮겨갔을 뿐이죠.그렇다면 지금 우리가 가르쳐야 할 것은 ‘말하는 법’이 아니라,디지털 환경에서 제대로 ‘소통하는 법’입니다.이 글에서는 디지털 세상에서의 소통이 어떻게 바뀌었는지,그리고 그 속에서 아이들에게 꼭 가르쳐야 할 핵심 소통 역량이 무엇인지 살펴봅니다. 디지털 시대, 소통의 의미가 달라졌다우리가 익숙한 소통은 말하고, 듣고, 얼굴을 보며 반응하는 방식입니다.하지만 아이들의 주된 소통 공간은 채팅창, 댓글, 영상, 이모지, 짧은 텍스트입니다.이제 소통은 음성과 문자만이 아니라,짧은 리액션, 밈, 이미지, 영상, 이모티콘까지 포함하는 멀티모달 커뮤니케이..
2025. 4. 16.